728x90
반응형
Ch1-3. Network core
- packet switching
- circuit switching
- network structure
Packet Switching
- router들이 묶음
- source hosts가 메시지를 packet으로 나누어줌. 그것을 첫 router에서 다음 router로 전송
- router에서 분할하지 않음!!
- 역할
-
- routing : source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정하는 것
- routing algorithm으로 테이블로 계산함
- forwarding : 계산한 테이블을 바탕으로 목적지로 보내는 일을 함
- routing : source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정하는 것
-
- == store-and-forward
- 라우터는 하나의 패킷에 속하는 비트를 모두 다 받기까지 일단 일단 저장하며 기다렸다가 다음 라우터로 forward 함
-
- 각 packet switch는 하나의 packet이 모두 도착한 다음에 전송될 수 있음
- 이 때 R bps, 즉 전체 수용량을 모두 사용하여 전송 (full capacity)
- 이 때 end-end delay = L/R + L/R = 2(L/R)
- ex) one-hop numerical ex
-
- L = 7.5Mbit, R = 1.5Mbps
- one-hop transmission delay = 7.5/1.5 = 5 sec
-
- store 가 필요한 이유
- 다른 packet이 전송 중일 때 도착한 packet을 저장하기 위해
-
- arrival rate >>> transmission rate 라면 큐에서 대기(delay)하는 시간이 발생
- buffer가 넘쳐서 packet을 loss할 수도
-
- 다른 packet이 전송 중일 때 도착한 packet을 저장하기 위해
대안 : Circuit Switching
end-end resources
- call이 지나가기 전에 각 link를 확보해둠.
- 출발과 도착 사이에 보장된(guaranteed) 경로가 생김
- 다른 사용자와의 공유는 없음 (no sharing) (dedicated)
- 전화 연결에 사용되는 방식
<종류>
FDM -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
- 사용자가 link 하나를 계속 사용
- 사용자가 늘어나면 frequency 늘림
TDM : time division multiplexing
- 서로 돌아가면서 사용
- 사용자가 늘어나면 time division을 촘촘히 더 나눔
Packet Switching VS Circuit Switching
packet switch 가 더 많은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다
circuit Switching이 10명을 대상으로 open하고
packet switching도 10명을 대상으로 open함
그런데 packet switching은 그 순간에 활동하는 사람의 수가 10명까지 가능한 것이기에
동시에 10명 이상이 활동할 확률을 계산해보면 실제로 34명까지 수용 가능
packet switching이 적합한 환경
== 전송할 data의 발생빈도가 들쭉날쭉일 때
-
- 자원을 공유하여 사용하기에 call setup이 없어서 단순함
- 대신 지나친 congestion 유의하기 (수용량에 비해 도착한 packet이 많아질 때)
- audio/video는 실시간으로 bandwidth를 보장해야해서 특이하게 circuit 같은 행동을 보이는 특징이 있음
Packet Switch | Circuit Switch | |
Call Setup | x | o |
Resource Reservation | x ( 수요에 따라 할당하면 됨) | o |
full link rate도 가능 | ||
Sharing | Dedicated | |
Congestion 시에... | delay or loss | Guaranteed service라서 ^^ |
Queueing delay | Call Setup Delay | |
num of users | More | Limited |
Good for Intermittent (간헐적), bursty(들쭉날쭉) data | Good for Guaranteed data |
Network Structure
access ISP(network)가 연결되는 방식이 경제적/ 국가적/정치적 방식을 반영하여 발전
모든 ISP를 다 직접 연결하면 O(N^2)이라 확장성 면에서 현실적이지 않음
그렇기에 global ISP에 연결하고, 또 global ISP끼리 연결하는 식으로 함.
global ISP 그룹 끼리 경쟁.
global ISP 끼리 연결하는 방법
- IXP ( Internet Exchange Point )
-
- Internet Exchange Point
- 빌딩 하나 전체에 switch를 설치
- 제 3자 회사에서 제공하며. internet으로 300개의 IXP가 존재함
- peer
- peering 하는 ISP 끼리 비용을 부과하지 않기로 약속
- regional net (ISP)
-
- 너무 멀리 있는 access network를 모아서 연결
- 이로 인해 두 위계가 생김 (global - access ISP)
- regional ISP마다 크기가 달라서 또 그들 간의 위계가 존재 = Multi-tier hierarchy
-
위계 : access isp < regional isp < global isp
Tier 1 ISP
- 전 세계 용
- Sprint 연결은 태평양 대서양 까지 뻗치는 걸 볼 수 있음
- POP: point of presence
-
- router 집단들
- Provider ISP (정보 제공이 많은 ISP)
- Customer ISP (정보 소비가 많은 ISP)
- POP는 provider ISP의 backbone을 Customer에 연결해주는 역할
- 제 3자가 높은 속도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해줌
-
- Multi-home
-
- 한 ISP가 두 개 이상의 provider ISP에 연결
- 예로 한 access ISP가 2개의 regional ISP와 Tier-1 ISP에 연결된 상태
- 이를 쓰는 이유는 provider ISP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걸 쓰면 되니까
-
Content Provider Networks
- 인터넷 연결이 아닌 컨텐츠를 제공하는 회사들이 자신만의 private network 를 global 하게 구축한 것
- upper-tier ISP에 지불한 비용을 줄이고, 자신의 서비스를 유연하게 만들기 위해서
- ex - google. microsoft
정리 - 인터넷의 구조
중앙에는 잘 연결된 큰 네트워크가 있음
- Tier 1 ISP
상위 ISP에 연결함으로써 서로 다른 ISP 간에 통신할 수 있지만
이 밖에도 IXP에 연결하거나
peering link를 통해 서로 다른 ISP 간에 연결될수도 있다.
- Content Provider Network
-
- access ISP는
- IXP를 통해 Content Provider Network와 직접 연결하기도 하고, (비용 절감)
- regional ISP를 거쳐서 IXP로 접근하기도 함
-
728x90
반응형
'CS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pplication layer (0) | 2021.10.15 |
---|---|
Networks Under Attack : Security (0) | 2021.10.15 |
Protocol Layers, Service Models (0) | 2021.10.15 |
Delay, Loss, Throughput in Network (0) | 2021.10.15 |
Internet & Network Edge (0) | 2021.10.15 |